버스 15日 파업 예고
서울, 경기 버스 파업 예고
주 52시간 노동 변화에 따른 임금
정부와 버스관계 속 무엇이 문제인가.
알뜰 신잡 - 사회 편 / Dreaming의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
전국적으로 버스 노조들이 파업을 한다고 예고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파업은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으로 시작된 불씨라고 말을 합니다.
정부가 주말있는 삶을 강조를 하면서 "52시간 근로 단축과 함께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려는데 반대를 할까?"
라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여기서 가장 중요한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주 52시간으로 인해서 인센티브가 떨어지는 기사의 임금이 차이가 난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이번 파업으로 기사노조는 무엇을 얻어갈려고 하는가?
첫 번째는 월급 보장이다.
버스 운전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알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체제로 움직이는지를.. 각 회사마다 지역마다 그리고 준공영제를 가지고는 모습마다 어떻게 쉬고,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그런데 다 똑같은 건 하나 있습니다.
월급보다 초과 근무수당이 있었다.
이것이 작은 월급에 불만이 없는 이유였다. 그런데 초과 근무수당이 되지 못하니 당연히 월급이 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두 번째는 환승제도에 대한 제기이다.
현재 환승제도를 국가에서 해주는 게 아니라 각자의 시 자체에서 운영을 한다.
이런 운영은 매일 적자가 나고 이명박 정부가 내놓은 환승시스템의 오류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었다.
이익창출의 기업이 점차 한승 제도로 통해서 이익이 절감되고 있었다.
야금야금 줄다 보니 이제 뚜껑을 열어보니 적자를 면하는 곳이 없었다.
특히 지방에서 나타난 적자는 만만치 하게 쌓여가고 있었다.
-----------------------------------------------------------------------------------------------------------------------------------
이런 이유로 통해서 현재 15日 전국적 버스 파업을 선포하고 있다.
과연 이 문제는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없을까?
전국 택시 대란과 다르게 전국 버스 파업은 전국에 있는 시민이 걱정을 하고 있다.
택시는 잘 안 타기에 굳이 파업을 해도 상관없다고 생각을 하지만,... 뚜벅이 Dreaming은 버스가 없으면 집을 절대로 못 가는 현실이기에 현 필자도 걱정을 하고 있다.
그러면 Dreaming의 아주 주관적인 생각으로 해결 방안을 생각해 보았다.
먼저, 곪아 터져 버린 준공영제 버스 회사의 문제부터 고쳐라!
뭐하러 기사들과 시민들이 불편과 힘듬을 겪어야 할까?
현제 준공영제로 운영되고 있는 버스 회사의 문제점을 시사하는 문제도 있었다.
특히 우리가 내는 세금으로 이상하게 돌아가고 있는 버스 회사의 문제가 해결된다면 지금 받고 있는 기사의 월급 또한 해결되지 않을까 생각을 한다.
중간에서 야금야금 띄어먹던 돈이 적자가 나니 무슨 보따리 내놓으라고 말을 하면서,
우리는 잘못이 없으니 기사가 고통을 겪어라. 이런 심보는 무엇인가?
준공영제를 말 자체가 되지 않는다.
공영제를 추진해서 세금으로 돌리던가. 아니면 이익 회사처럼 운영을 해라.
그렇다면 문제가 없지 않을까?
두 번째는, 월급으로 줘라
무슨 임금을 무슨 내가 운행하는 것으로 준다고 하는 부분에서 누가 좋아하랴!
월급 자체가 높아간다면 추가 수당을 안 하지 않겠나?
현재 지방에서 많은 운전기사가 이직을 한다고 한다.
경기도에서 다들 서울로 이전한다고 말을 한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절대적으로 임금이 높기에 움직인다고 말을 한다.
100만 원 가까이 차이 나는데 누가 시골에서 운행을 하려고 할까
복지 또한 차이가 나는데 어느 누가 돈 적게 받고 일을 하려고 하는가?
서로의 이익의 차이가 난다고 생각하지 말고 왜 그런지를 생각해보지 않을까?
결론적으로 정부가 버스비를 올리는 것으로 타결을 본다면 너무나 임시방편으로 하는 것이고
본질적으로 해결하는 이번 버스 파업이 되었으면 한다.
나중에 또 이러한 대란이 온다면 버스는 서민의 자동차가 아니라 비싼 차량이 아닐까?
현재 많은 임금이 상승되었고, 세금 또한 올랐다.
20여년 전 시스템으로 살아갈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